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가이드라인 1. 개요 본 문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반드시 준수해야 할 보안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최신 보안 위협에 대응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개발자가 숙지해야 할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2. 인증 및 권한 관리 가. 패스워드 정책 - 최소 8자 이상, 영문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조합 - 동일한 패스워드를 3번 연속 실패시 계정 잠금 - 패스워드 해시화에는 bcrypt 또는 Argon2 사용 권장 - 평문 패스워드 저장 절대 금지 나. 세션 관리 - 로그인 시 새로운 세션 ID 생성 - 세션 타임아웃 설정 (일반적으로 30분) - 로그아웃 시 서버에서 세션 완전 삭제 - HTTPS 환경에서만 세션 쿠키 전송 (Secure 플래그) 다. 권한 제어 - 최소 권한 원칙 적용 -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구현 - 모든 API 엔드포인트에 권한 검증 로직 적용 3. 입력 데이터 검증 가. SQL 인젝션 방지 - Prepared Statement 사용 필수 - 동적 쿼리 생성시 입력값 검증 및 이스케이프 처리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권한 최소화 - 에러 메시지에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보 노출 금지 나. XSS(Cross-Site Scripting) 방지 - 모든 사용자 입력에 대한 HTML 인코딩 - Content Security Policy (CSP) 헤더 설정 -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파일의 확장자 및 내용 검증 - innerHTML 사용시 주의, textContent 권장 다.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 방지 - CSRF 토큰 사용 - SameSite 쿠키 속성 설정 - 중요한 작업에 대한 재인증 요구 4. 데이터 보호 가. 암호화 - 민감한 데이터는 AES-256 이상의 강력한 암호화 적용 - HTTPS 통신 필수 (TLS 1.2 이상) - 데이터베이스 백업 파일 암호화 - 암호화 키는 별도의 안전한 저장소에 보관 나. 개인정보 보호 - 개인정보 최소 수집 원칙 - 불필요한 개인정보는 정기적으로 삭제 - 로그 파일에 개인정보 기록 금지 - 개인정보 처리시 마스킹 처리 5. 로깅 및 모니터링 가. 보안 로그 - 로그인 시도, 권한 변경, 중요 데이터 접근 등 기록 - 로그 파일 무결성 보장 메커니즘 구현 - 실시간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나. 침입 탐지 - 비정상적인 접근 패턴 탐지 -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 탐지 및 차단 - 자동화된 공격 도구 탐지 6. 서버 및 네트워크 보안 가. 서버 보안 - 불필요한 서비스 및 포트 차단 - 정기적인 보안 패치 적용 -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구축 - 서버 접근 권한 최소화 나. 네트워크 보안 - DMZ 구성을 통한 네트워크 분리 - 내부 네트워크 접근 제한 - DDoS 공격 방어 시스템 구축 7. 코드 보안 - 정적 코드 분석 도구 활용 - 보안 코드 리뷰 프로세스 수립 - 취약점 스캐닝 정기 실시 -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보안 업데이트 관리 본 가이드라인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새로운 보안 위협이 발견될 때마다 내용이 보완될 예정입니다. 문의사항은 보안팀 (security@company.co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