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통령선거 여론조사 종합분석보고셔 1. 조사개요 및 방법론 이번 여론조사는 2024년 대통령선거에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파악하기위해 실시되었습니다. 조사기간은 2024년 2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총 28일간 진행되었으며, 전국 만 18세이상 유권자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조사방법은 무작위 전화조사(RDD)와 온라인 패널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입니다. 응답률은 전화조사 15.2%, 온라인조사 85.3%로 나타났습니다. 2. 주요조사결과 2-1. 지지율 현황 현재 대통령선거 지지율을 보면, A후보가 35.2%로 가장 높았고, B후보는 32.8%, C후보는 18.5%를 기록했습니다. 기타후보들(13.5%)을 제외하면 양당구도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연령대별로 분석해보면, 20대에서는 B후보가 45.2%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고, 60대이상에서는 A후보가 52.1%로 높은 지지율을 보였습니다. 특히 30-40대에서는 A후보와 B후보가 각각 38.7%, 39.2%로 접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2-2. 정책이슈별 평가 정책이슈별로 어떤후보가 더 유리한지 조사한 결과, 경제정책에서는 A후보가 42.3%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교육정책에서는 B후보가 38.7%로 우위를 보였습니다. 외교안보정책에서는 A후보가 45.1%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으며, 복지정책에서는 B후보가 41.2%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환경정책과 디지털정책에서는 C후보가 각각 28.5%, 31.2%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전체적인 지지율에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2-3. 지역별 분석 지역별 지지율을 분석해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서는 B후보가 38.7%로 A후보(35.2%)보다 높았고, 충청권에서는 A후보가 42.1%로 우위를 보였습니다. 호남권에서는 B후보가 65.3%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고, 영남권에서는 A후보가 48.7%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습니다. 강원도와 제주도에서는 A후보와 B후보가 각각 41.2%, 39.8%로 접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세부분석 3-1. 성별 분석 성별로 분석해보면, 남성유권자에서는 A후보가 38.5%로 B후보(31.2%)보다 높았고, 여성유권자에서는 B후보가 34.3%로 A후보(32.1%)보다 높았습니다. 특히 20-30대 여성에서는 B후보의 지지율이 48.7%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3-2. 학력별 분석 학력별로는 고졸이하에서는 A후보가 42.3%로 높았고, 대졸이상에서는 B후보가 36.8%로 우위를 보였습니다. 대학원졸업자들 사이에서는 B후보가 41.2%로 A후보(28.5%)보다 높은 지지율을 보였습니다. 3-3. 소득수준별 분석 소득수준별로 분석해보면, 월소득 300만원미만에서는 B후보가 38.7%로 높았고, 월소득 500만원이상에서는 A후보가 42.1%로 우위를 보였습니다. 중간소득층(300-500만원)에서는 A후보와 B후보가 각각 35.2%, 34.8%로 접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4. 주요이슈별 분석 4-1. 경제정책 경제정책에대한 평가에서는 A후보가 42.3%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대기업정책과 중소기업지원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B후보는 35.8%로 중간층을 위한 경제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C후보는 18.7%로 환경친화적 경제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4-2. 교육정책 교육정책에서는 B후보가 38.7%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공교육정상화와 사교육비절감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A후보는 32.1%로 대학입시제도개선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C후보는 25.3%로 창의교육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4-3. 외교안보정책 외교안보정책에서는 A후보가 45.1%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한미동맹강화와 북핵문제해결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B후보는 28.7%로 평화외교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C후보는 22.1%로 다자협력외교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4-4. 복지정책 복지정책에서는 B후보가 41.2%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의료보험개선과 노인복지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A후보는 35.8%로 경제성장을 통한 복지정책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C후보는 19.7%로 환경복지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5. 투표의향 분석 5-1. 투표확실성 투표의향이 확실한 응답자는 전체의 78.5%를 차지했고, 아직 결정하지 못한 응답자는 15.3%였습니다. 투표하지 않겠다는 응답자는 6.2%로 나타났습니다. 투표확실성이 높은 연령대는 60대이상(85.2%)과 50대(82.1%)였고, 20대(65.3%)와 30대(71.8%)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5-2. 투표동기 투표동기를 분석해보면, "정책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45.2%로 가장 높았고, "후보의 인품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28.7%, "정당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18.3%로 나타났습니다. "기타"는 7.8%였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에서는 정책중시가 52.3%로 높았고, 60대이상에서는 후보인품중시가 35.8%로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6. 향후전망 6-1. 지지율변화추이 지난 3개월간의 지지율변화를 보면, A후보는 32.1%에서 35.2%로 3.1%p 상승했고, B후보는 35.8%에서 32.8%로 3.0%p 하락했습니다. C후보는 15.2%에서 18.5%로 3.3%p 상승했습니다. 6-2. 주요변수 향후 지지율변화에 영향을 미칠 주요변수로는 경제상황(42.3%), 후보간 토론회(28.7%), 정책공약(18.5%), 기타(10.5%)로 나타났습니다. 7. 결론 및 시사점 이번 여론조사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A후보와 B후보가 접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며, C후보는 제3세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령대별, 지역별로 뚜렷한 지지패턴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선거결과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책이슈별로는 각 후보가 서로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정책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투표확실성이 높은 고령층의 지지율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각 후보진은 자신의 강점을 살리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젊은층과 중간층을 대상으로 한 정책공약의 구체화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8. 부록 8-1. 조사표본구성 전체 2,000명 중 남성 1,000명(50.0%), 여성 1,000명(50.0%)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300명(15.0%), 30대 400명(20.0%), 40대 400명(20.0%), 50대 400명(20.0%), 60대 300명(15.0%), 70대이상 200명(10.0%)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00명(40.0%), 충청권 300명(15.0%), 호남권 300명(15.0%), 영남권 500명(25.0%), 기타지역 100명(5.0%)으로 구성되었습니다. 8-2. 조사문항 주요 조사문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대통령선거에서 가장 지지하는 후보는 누구입니까? 2) 각 후보의 정책에대해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3) 투표의향이 확실한가요? 4) 투표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무엇입니까? 5) 향후 지지율변화에 영향을 미칠 요소는 무엇입니까? 8-3. 통계처리방법 데이터 분석에는 SPSS 25.0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가중치는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 인구비율에 맞춰 적용되었습니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95% 신뢰수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여론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선거가 진행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